POODLE

개에 대해서는 푸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POODLE("Padding Oracle On Downgraded Legacy Encryption")은 SSL 3.0에 대한 폴백을 활용하는 보안 취약점이다.[1][2][3]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성공적으로 악용하는 경우 평균적으로 1바이트의 암호화된 메시지를 공개하기 위해 SSL 3.0 요청을 256회만 하면 된다. 구글 보안 팀의 보도 뮐러(Bodo Möller), 타이 두옹(Thai Duong), 크시슈토프 코토비츠(Krzysztof Kotowicz)가 이 취약점을 발견했다. 그들은 2014년 10월 14일에 취약점을 공개적으로 공개했다(다만 문서 날짜가 "2014년 9월"로 되어 있음). 2014년 12월 8일, TLS에 영향을 미치는 POODLE 취약점의 변종이 발표되었다.

원래 POODLE 공격과 관련된 CVE-ID는 CVE-2014-3566이다. F5 네트웍스도 CVE-2014-8730에 대해 출원했다.

각주

  1. Möller, Bodo; Duong, Thai; Kotowicz, Krzysztof (September 2014). “This POODLE Bites: Exploiting The SSL 3.0 Fallback” (PDF). 2014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16일에 확인함. 
  2. Bright, Peter (2014년 10월 15일). “SSL broken, again in POODLE attack”. Ars Technica. 
  3. Brandom, Russell (2014년 10월 14일). “Google researchers reveal new Poodle bug, putting the web on alert”. 

외부 링크

  • This POODLE Bites: Exploiting TheSSL 3.0 Fallback Archived 2014년 10월 14일 - 웨이백 머신 - The original publication of POODLE
  • 1076983 – (POODLE) Padding oracle attack on SSL 3.0 Mozilla Bugzilla
  • What Is the POODLE Attack? - Acunetix article explaining POODLE attack algorithm
  • v
  • t
  • e
2010년대의 해킹 사건
← 2000년대 연표 2020년대 →
주요 해킹 사건
해커 단체
  • 어나니머스
    • 관련 사건
  • 121국
  • 코시 베어
  • 사이버버킷
  • 더프
  • 평등회
  • 펜시 베어
  • GNAA
  • 고아체 시큐레티
  • 구시퍼 2.0
  • 해킹팀
  • 이란 사이버군
  • 리자드 스쿼드
  • 룰즈레프트
  • 룰즈섹
  • 뉴 월드 해커
  • 눌크루
  • NSO 그룹
  • 페이팔 14
  • 중국 인민해방군 61398부대
  • 프랭크넷
  • 레드핵
  • 로켓 키틴
  • 더 섀도 브로커스
  • 시리아 전자군
  • TeaMp0isoN
  • 테일로드 엑세스 작전
  • UGNazi
  • 예맨 사이버군
주요 인물
  • 조지 호츠
  • 구시퍼
  • 헥터 몬스구르
  • 제레미 하몬드
  • 주나드 후세인
  • 크리스토퍼 폰 헤셀
  • 무스타파 알바삼
  • MLT
  • 랸 아크롤드
  • 토파리
  • 더 제스터
  • weev
발견된 보안 취약점
  • 에버쿠키 (2010년)
  • 아이씨유 (2013년)
  • 하트블리드 (2014년)
  • 셸쇼크 (2014년)
  • POODLE (2014년)
  • 루트파이프 (2014년)
  • 로우해머 (2014년)
  • JASBUG (2015년)
  • 스테이지프라이트 (2015년)
  • DROWN (2016년)
  • Badlock (2016년)
  • 더티 COW (2016년)
  • 클라우드블리드 (2017년)
  • 브로드컴 와이파이 (2017년)
  • 이터널블루 (2017년)
  • Silent Bob is Silent (2017년)
  • KRACK (2017년)
  • ROCA 취약점 (2017년)
  • 멜트다운 (2018년)
  • 스펙터 (2018년)
  • EFAIL (2018년)
  • SSB (2018년)
  • LazyFP (2018년)
  • TLBleed (2018년)
  • 시그스푸프 (2018년)
  • L1TF (2018년)
악성 소프트웨어
  • v
  • t
  • e
프로토콜과 기술
공개키 인프라
같이 보기
역사
  • 미국에서의 암호 기법 수출 규제 (영문판)
  • 서버 게이트형 암호 기법 (영문판)
구현체
공증
취약점
이론
암호
  • Bar mitzvah attack (영문판)
프로토콜
  • BEAST (영문판)
  • BREACH (영문판)
  • CRIME
  • DROWN (영문판)
  • Logjam (영문판)
  • POODLE (SSL 3.0 관련) (영문판)
구현체
  • Certificate authority compromise (영문판)
  • Random number generator attacks (영문판)
  • FREAK (영문판)
  • goto fail (영문판)
  • 하트블리드
  • Lucky Thirteen attack (영문판)
  • POODLE (TLS 1.0 관련) (영문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