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제6차 대프랑스 동맹
나폴레옹 전쟁의 일부

라이프치히 전투
날짜1813년 3월 3일 - 1814년 4월 16일
장소
결과

반(反)프랑스 연합군의 승리, 퐁텐블로 조약 (1814년)

교전국

영국 영국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프로이센 프로이센
포르투갈 왕국 포르투갈 왕국
스페인의 기 스페인
스웨덴의 기 스웨덴
프랑스 왕국 프랑스 왕당파
사르데냐 왕국 사르데냐 왕국
라이프치히 전투 이후:
네덜란드 네덜란드 연합 공국
오스트리아 제국 작센 왕국
바이에른 왕국 바이에른 왕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프랑스 프랑스 제국
이탈리아 왕국 (1805년~1814년) 이탈리아 왕국
나폴리 왕국 나폴리 왕국
라인 동맹


미국 미국
지휘관

영국 조지 3세
영국 아서 웰즐리
영국 로버트 젱킨슨
러시아 제국 알렉산드르 1세
러시아 제국 미하일 쿠투조프
러시아 제국 페테르 비트겐슈타인
러시아 제국 바클라이 드 톨리
오스트리아 제국 프란츠 2세
오스트리아 제국 카를 필리프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3세
프로이센 게프하르트 블뤼허
스웨덴 칼 14세 요한
네덜란드 빌럼 1세

바이에른 왕국 베르데 공 카를

프랑스 나폴레옹 1세
프랑스 외젠 드 보아르네
프랑스 미셸 네
나폴리 왕국 조아생 뮈라


미국 제임스 매디슨
미국 제이컵 브라운
미국 헨리 디어본
미국 윈필드 스콧
미국 앤드루 잭슨
미국 윌리엄 H. 해리슨
미국 윌리엄 헐

미국 제블론 파이크
  • v
  • t
  • e
제6차 대프랑스 동맹
뤼첸 – 바우첸그로스베렌카츠바흐드레스덴쿨름데네비츠괴르데라이프치히하나우세헤스타드 – 브리엔 – 라 로티에르 – 민치오 – 6일 전역 – 몽마스 – 몽테로 – 바르-쉬르-오브 – 크라온 – 라옹 – 랭스 – 아르-쉬르-오브 – 라 샤를-샹프누아 – 생-디지에 – 몽마르트르 – 파리

제6차 대프랑스 동맹(Sixth Coalition, 1812년 - 1814년)는 나폴레옹 1세프랑스 제국 패권에 도전하기 위해 유럽 국가들이 결성한 동맹이다. 러시아 원정에서 큰 손해를 입은 프랑스군은 사방에서 다가오는 연합군에 압박을 받게 되고, 결국 나폴레옹이 퇴위의 위기에 몰렸다.

독일-프랑스 전쟁 (1813-1814년)

프로이센의 참전

라이프치히 전투

1813년 나폴레옹은 20만 명의 신병을 징집하여 러시아 원정에 손상당한 군대를 재건했다. 연합군은 3월 17일 프로이센이 프랑스에 선전 포고를 하고 옛 영지 탈환에 나섰다. 4월 28일에는 러시아의 장군 쿠투조프가 병이 들자 대신 뷔토겐슈타인이 총사령관이 되었다.

5월 2일, 라이프치히 근교의 뤼첸에서 뷔토겐슈타인 휘하의 러시아군이 미셸 네가 이끌던 군단을 기습한다. 나폴레옹은 즉시 반격하여 물리쳤지만(뤼첸 전투), 뷔토겐슈타인은 병력을 잘 철수시켜 결정적인 승리에는 이르지 못했다. 나폴레옹은 미셸 네에게 병력의 절반을 주고 러시아군을 두 방면에서 추격하여, 5월 20일 - 21일, 바우첸 전투에서 러시아-프로이센 연합군에 승리를 거두었지만, 미셸 네의 측면 공격의 시작이 늦었기 때문에 또 다시 연합군을 격멸하는데 실패하고 만다. 게다가, 프랑스군도 큰 손해를 입었다.

6월 4일, 나폴레옹에 황후 마리 루이즈를 정략 결혼을 시킨 오스트리아의 중재로 휴전 협정이 체결되어 양군 모두 병력을 재편했다. 하지만 그 당시 스페인에서도 프랑스군은 위기를 맞고 있었다. 웰링턴 공작이 이끄는 영국-포르투갈-스페인 연합군은 6월 21일비토리아 전투》를 비롯해 곳곳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고, 프랑스 본토로 북상하고 있었다.

오스트리아의 참전

7월에는 스웨덴도 대프랑스 동맹에 가입했다. 7월 29일 프라하에서 강화 회의가 개최되었는데, 양군 모두 양보 의사가 없었기 때문에 회담은 결렬되었다. 8월 10일 휴전 기간이 끝나자, 8월 11일, 오스트리아도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했다. 휴전 기간 동안 프랑스군은 30만 집결시켰지만, 연합군의 병력은 45만 이상 집결시켰고, 각 전선에서 프랑스군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스웨덴 연합군은 트라히브르크 계획을 채택하고 나폴레옹 본대와 정면충돌을 피하고, 나머지 부대에 대규모 작전을 지향하는 전략을 취했다. 북방에서는 베르나도트가 이끄는 스웨덴군이 8월 23일그로스베렌 전투》에서 베를린 공격을 이끌고 있었던 우디노 군단에 승리하였다. 또한 9월 10일에는 데네뷔트 전투에서 우디노 군단과 교체된 미셸 네의 군단을 격파했다. 동부 전선에서는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이 8월 26일카츠바흐 전투》에서 마크도날 군단에 승리했다.

남부 전선에서는 슈와르트베르크가 이끄는 오스트리아-러시아 연합군이 작센 왕국의 수도 드레스덴을 지키는 산실 군단을 공격했다. 여기에 나폴레옹이 증원에 참가해 8월 26일 -27일 드레스덴 전투가 되었다. 이 전투는 프랑스군이 승리했지만, 오스트리아-러시아 연합군을 추격했던 도미니크 방담8월 30일쿨름 전투》에서 역으로 포위되고 방담 본인을 포함하여 7,000명이 포로가 되었다. 이렇게 프랑스군은 점점 소모되었고, 병력 차이는 점점 커졌다. 또한 10월에는 프랑스의 오랜 동맹국인 바이에른 왕국까지도 배반하고 말았다.

국가들의 전투

궁지에 몰린 나폴레옹은 서부로 철수하여, 주력을 라이프치히에 집결시켰다. 연합군이 결전을 하여 1813년 10월 16일 ~ 19일 《라이프치히 전투》가 시작되었다. 이 전투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최대의 전투가 벌어졌다. 19만 프랑스군에 36만 연합군이 포위 공격을 펼쳐 프랑스군은 2배의 병력 차이를 극복할 수 없었다. 10월 18일 독일의 작센 왕국군의 일부가 배신을 하자, 19일 나폴레옹은 철수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철수 과정에서 포니아토프스키가 전사했고, 프랑스군은 전사 4만, 포로 3만 명을 기록하고 패주했다. 이 독일을 중심으로 한 전쟁을 현재 독일에서는 “해방 전쟁”이라고 부르고 있다.

1814년 프랑스 원정

파리에 입성하는 러시아군, 1814년

프랑스군은 독일에서 철수를 할 수 밖에 없었다. 동쪽에서 러시아군, 오스트리아군, 프로이센 군, 스웨덴 군이 쇄도했고, 남쪽에서 스페인을 제압한 영국군이 피레네산맥을 넘었다. 프랑스군은 꾸준히 몰려갔다. 1813년 12월 2일, 연합군이 암스테르담에 입성하였다. 12월 21일에는 슈와르트베르크 군이 라인강을 건넜다. 1814년 1월 19일에는 부르고뉴 지방의 디종이 함락되었다.

나폴레옹이 “마리 루이즈 병”이라고 한탄했던 미숙한 젊은 신병들을 이끌고, 국지적인 전투에서 종종 승리를 거뒀다. 예를 들어, 2월 10일부터 14일까지의 엿새 동안의 전쟁(닷새간의 전쟁도)이라는 전투는 나폴레옹의 육군의 역사 중 최고 전략이었다고 평가하는 시각도 많다. 나폴레옹은 샹파뉴에 침공한 10만 블뤼허 군에 대항하여 4만의 병력으로 기동 작전을 펼쳐 이를 물리쳤다.

3월 9일, 영국 주도로 동맹국은 《쇼몽 조약》을 체결하고 1791년 당시 국경의 회복을 조건으로 휴전을 제안했지만, 나폴레옹은 거부했다. 그러나 대국적인 열세를 만회할 길은 없었다. 나폴레옹은 마지막 저항을 시도했지만, 압도적인 병력 차이 앞에 아루시 쉬르 오브 전투 등에서 패배했다. 3월 30일 연합군은 수도 파리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파리 방위 책임을 맡고 있던 마르몽은 항복을 했고, 다음 날인 3월 31일, 연합군은 파리에 입성했다. 탈레랑 페리고르를 중심으로 하는 프랑스 임시 정부는 휴전을 위해 나폴레옹의 퇴위를 결의했다. 4월 11일, 나폴레옹은 결국 사직을 했고, 항복 조건으로 《퐁텐블로 조약》이 체결되었다.

결과

나폴레옹의 엘바섬 추방, 1814년 영국 판화.

전쟁의 결과, 나폴레옹은 패배하였고 1814년 5월 4일 엘바섬으로 추방되었다. 베르나도트는 프랑스 군주의 후계자 지위를 노린, 대 프랑스 동맹 국가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프랑스 상원의 의결에 따라 프랑스 혁명 이후 망명 하고 있던 부르봉 왕가루이 18세가 귀환하여, 즉위하면서 왕정 복고가 이루어졌다.

러시아 원정에서 프랑스 원정에 이르기 최종 국면에서 250만 명의 병력이 전쟁에 참가했고, 그 중 200만 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러시아에서만 100만 명 사망하였으며, 스몰렌스크 전투, 보로디노 전투, 드레스덴 전투, 라이프치히 전투는 나폴레옹 전쟁 중에서도 특히 규모가 큰 전투였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서구에서 이렇게 대규모 전투가 계속해서 일어날 수 없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Bogdanovich Modest I. (1863) (in Russian). History of the War in 1813 for the independence of Germany (История войны 1813 года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Германии) at Runivers.ru in DjVu and PDF formats
  • Bogdanovich Modest I. (1865) (in Russian). History of the War in 1814 in France and the deposition of Napoleon I, according to reliable sources (История войны 1814 года во Франции и низложения Наполеона I, по достоверным источникам) at Runivers.ru in DjVu and PDF formats
  • Napoleon, His Armies and Tactics
  • Collection of historical eBooks about the War of the Sixth Coalition (German)
  • v
  • t
  • e
교전국
프랑스와 위성국
및 동맹국
대불동맹군
주요 전투
전조
1805
  • 다이아몬드 락
  • 피니스테레곶
  • 베르팅겐
  • 귄츠부르크
  • 알베크
  • 엘칭언
  • 울름
  • 베로나
  • 트라팔가르
  • 카디에로
  • 오테갈곶
  • 암슈테텐
  • 뒤렌슈타인
  • 슝라베른
  • 아우스터리츠
1806
  • 가에타
  • 캄포 테네세
  • 마이다
  • 슐라이츠
  • 자펠트
  • 예나–아우어슈테트
  • 에르푸르트
  • 할레
  • 마그데부르크
  • 프렌츨라우
  • 파세발크
  • 슈체친
  • 바렌-노센틴
  • 뤼베크
  • 비엘코폴스카 봉기
  • 하멜른
  • 차르노보
  • 골리민
  • 푸위츠크
1807
  • 모흐룬건
  • 슈트랄준트
  • 아일라우
  • 오스트로웽카
  • 콜베르크
  • 단치히
  • 밀레토
  • 구테슈타트-데펜
  • 하일스베르크
  • 프리틀란트
  • 코펜하겐
  • 포르투갈 침공
1808
  • 도스 데 마요
  • 알 브뤽
  • 로실리 편대
  • 카베손
  • 제1차 사라고사
  • 발렌시아
  • 메디나 델 리오 세코
  • 바일렌
  • 로리차
  • 비메이로
  • 팡코르보
  • 발마세다
  • 부르고스
  • 에스피노사
  • 투델라
  • 소모시에라
  • 제2차 사라고사
  • 사하귄
  • 베나벤테
1809
  • 카스텔롱
  • 우클리스
  • 코루나
  • 발스
  • 티롤 반란
  • 빌라프랑카
  • 예비네
  • 시우다드레알
  • 제1차 포르토
  • 메델링
  • 베르기젤
  • 사칠
  • 튜건-하우젠
  • 라슈친
  • 아벤스베르크
  • 랜드슈트
  • 에크뮐
  • 라티스본
  • 달마티아
  • 지로나
  • 피아베강
  • 제2차 포르투
  • 아스페른-에슬링
  • 알카니스
  • 라브
  • 바그람
1810
  • 카디스
  • 아스토르가
  • 시우다드로드리고
  • 알메이다
  • 부사초
1811
  • 제보라
  • 바로사
  • 폼발
  • 캄포마요르
  • 사부갈
  • 알메이다
  • 후엔테스데오뇨로
  • 타라고나
  • 알부에라
  • 사군토
  • 아로요도몰리노
  • 발렌시아
1812
1813
1814
1815
  • 톨렌티노
  • 안코나
  • 콰트레브라
  • 리그니
  • 워털루
  • 바브레
  • 로셰세비에르
  • 로켕코르
  • 이시
정보
프랑스 및
동맹국 지도자
대프랑스 동맹군
지도자
관련 전쟁
조약
기타
  • 포털 포털
  • 위키프로젝트 군사사
  • 위키낱말사전 definition
  • 위키미디어 공용 media
  • 위키인용집 quotes
  • v
  • t
  • e
러시아의 군사 충돌(제국소련 시기 포함)
내전
17세기 이전
  • 모스크바-볼가 불가르 전쟁 (1376년)
  • 보자 강 전쟁 (1378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492년~1494년)
  • 모스크바-스웨덴 전쟁 (1495년~97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500년~1503년)
  • 시리챠 강 전투 (1501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507년~1508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512년~1522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534년~1537년)
  • 러시아-크림 전쟁
  • 러시아-카잔 전쟁
  • 러시아-스웨덴 전쟁 (1554년~1557년)
  • 리보니아 전쟁
  • 러시아-스웨덴 전쟁 (1590년~1595년)
  • 폴란드-러시아 전쟁 (1605년-1618년)과 곤란의 시기
  • 인그리아 전쟁
  • 스몰렌스크 전쟁
  • 청-러시아 국경 분쟁 (1652년~1689년)
  •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년-1667년)
  • 제2차 북방 전쟁
  • 러시아-튀르크 전쟁 (1676년~1681년)
  • 러시아-튀르크 전쟁 (1686년~1700년)
18~19세기
20세기
소련 이후
  • v
  • t
  • e
폴란드의 전쟁 및 분쟁
피아스트 왕조
  • 체디니아 전투
  • 독일-폴란드 전쟁 (1002년–1018년)
  • 볼레스와프 1세의 키예프 계승위기 개입
  • 1072년 보헤미아와 전쟁
  • 그와고프 방어전
  • 1146년 독일과 전쟁
  • 1156년 독일과 전쟁
  • 제1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 제2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 제3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 제1차 폴란드-튜턴 전쟁
    • 프와브체 전투
  • 갈리치아-볼히니아 전쟁
야기에우워 왕조
  • 폴란드-리투아니아-튜턴 전쟁
    • 그룬발드 전투
  • 기아 전쟁
  • 골룹 전쟁
  • 제2차 폴란드-튜턴 전쟁
  • 그로트니키 전투
  • 1444년 오스만과 전쟁
  • 13년 전쟁
  • 사제 전쟁
  • 폴란드-몰다비아 전쟁
  • 폴란드-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 제3차 폴란드-튜턴 전쟁
  • 폴란드-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 오스만-타타르의 리투아니아-폴란드 침공
제1공화국
  • 북방 7년 전쟁
  • 단치히 반란
    • 루비에스조프 전투
  • 단치히 공방전 (1577년)
  • 리보니아 전쟁
    • 스테판 바토리의 리보니아 원정
  •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587년–1588년)
    • 비스치나 전투
  • 1589년 타타르 침공
  • 코신스키 봉기
  • 1593년 타타르 침공
  • 날랴바이코 봉기
  • 몰다비아 유력자 전쟁
  • 시기스문드 폐위전쟁
    • 스통게브로 전투
  • 폴란드-스웨덴 전쟁 (1600년–1611년)
  • 폴란드-스웨덴 전쟁 (1617년–1618년)
  • 폴란드-스웨덴 전쟁 (1621년–1625년)
  • 폴란드-스웨덴 전쟁 (1626년–1629년)
  • 폴란드-러시아 전쟁 (1605년–1618년)
    • 클루시노 전투
  • 제브르지도브스키의 난
  • 30년 전쟁
    • 후멘네 전투
  • 폴란드-오스만 전쟁 (1620년-1621년)
    • 코틴 전투 (1621년)
  • 1624년 타타르 침공
  • 즈마일로 봉기
  • 페도로비치 봉기
  • 스몰렌스크 전쟁
    • 스몰렌스크 공방전 (1632년-1633년)
  • 폴란드-오스만 전쟁 (1633년-1634년)
  • 파울루크 봉기
  • 오스트르자닌 봉기
  • 1644년 타타르 침공
  • 흐멜니츠키 봉기
  • 폴란드-러시아 전쟁 (1654년-1667년)
  • 제2차 북방 전쟁
    • 대홍수
  • 폴란드-카자크-타타르 전쟁 (1666년-1671년)
  • 폴란드-오스만 전쟁 (1672년-1676년)
    • 코틴 전투 (1673년)
  • 폴란드-오스만 전쟁 (1683년-1699년)
  • 대북방 전쟁
  •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 바르 동맹전쟁
  • 폴란드-러시아 전쟁 (1792년)
  • 코시치우슈코 봉기
폴란드 분할
제2공화국
  •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 비엘코폴스카 봉기 (1918년–1919년)
  •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전쟁
  • 제1차 실레지아 봉기
  • 소련-폴란드 전쟁
    • 바르샤바 전투 (1920년)
  • 제2차 실레지아 봉기
  •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
  • 제3차 실레지아 봉기
제2차 세계 대전
인민공화국
제3공화국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가
  • 이스라엘
  • 미국
  • 체코
아티스트
  • KulturN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