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만덕터널

제2만덕터널
교통시설만덕대로
충렬대로
국적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관리부산시설공단
건설대림산업
구조왕복 4차로
길이1,740m
9.4m
착공일1984년 7월
완공일1988년 4월
위치
위치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 북구 만덕동

제2만덕터널(第二萬德터널)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과 북구 만덕동을 잇는 왕복4차선의 터널이다. 상하행선이 완벽하게 분리 되어 있어서 정면 충돌의 우려가 없다. 국도 제14호선의 일부이기도 하다.

1973년 개통한 제1만덕터널을 대체 및 보완하기 위해 1984년 7월 착공하여 1988년 4월 완공하였다. 제1만덕터널은 왕복 2차선으로 당시 극심한 정체를 빚고 있었고 제2만덕터널의 개통은 만덕-동래간 정체를 해소 하는 해결책이었다. 터널 축조는 대림산업의 민간투자로 이루어졌다. 총공사비는 437억 7천 8백만원이며 그중 부산직할시(당시)가 91억원, 대림산업이 346억 7천 8백만원을 부담했다.[1]

규모

총 길이는 1740m이다. 세부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1]

  • 만덕동에서 터널로 진입하는 길이 640m, 폭 32.7m ~ 42.6m의 8차선 도로
  • 길이 1,740m, 폭 9.4m 쌍굴식 2차선 터널
  • 터널에서 미남로터리로 가는 길이 704.48m, 폭 32.7m의 8차선 도로

연혁

  • 1988년 6월 : 터널 개통
  • 2005년 7월 1일 : 터널 무료화[2]

특징

북구와 동래구를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길이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 교통 정체가 많다[3]. 1988년 6월부터 2005년 6월 30일까지 통행료를 걷었으며, 무료화 직전 통행료는 소형차 400원, 대형차 500원이었다.[4] 2004년 통행료 수입은 101억원이었으며 2005년 하루 통행량은 7만6000대였다. 만덕에서 동래 방향으로 갈 때, 터널 종점부터 내리막길이 있고 특히 터널 진입시 차선이 축소되므로(6차선-4차선) 이 구간을 운전할 경우 주의하여야 한다. 밑에는 부산지하철 3호선 만덕역~미남역 나란히 통과한다.

자동차 전용도로

  •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어 자전거, 보행자 등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의 경우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 초소형전기자동차는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각주

  1. 제2만덕 TUNNEL 건설지, 부산직할시 및 대림산업 발행 1988년 p31
  2. 부산광역시 조례 제4015호, 2005년 6월 8일.
  3. 출퇴근 시간 말고도 명절에는 남해고속도로와 직결되는 데다가 만덕대로 진입로에서 차로수가 편도 4차로에서 2차로로 줄어들어 교통 정체는 더욱 심화된다.
  4. “부산 구덕·제2 만덕터널 통행료 폐지”. 한겨레. 2005년 6월 28일.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3일에 확인함. 
  • v
  • t
  • e
고속도로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참조
일반 국도
남북
동서
지방도
국지도
지방도
국지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시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전남
경북
경남
 표시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가 해제된 구간을 나타낸다.
  • v
  • t
  • e
부산광역시의 교통
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
철도
노선
도시·광역철도
도로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
시내간선도로
국도·국지도
광역시도
고가도로[1]
  • 가야
  • 대연
  • 동서
  • 동명
  • 동천
  • 모라
  • 반여
  • 부암
  • 여락
  • 영도
  • 영주
  • 월평
  • 좌천
  • 진남
  • 충장
  • 화명
교량
터널
지하차도[1]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
환승센터
기타
항공·항만
교통카드
  1.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2.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편〕
  3.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4.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5.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부칙 제2조(법 시행을 위한 준비행위) 국토교통부장관은 이 법 시행 전에 권역별 공항개발 방향이 가덕도신공항의 위계 및 기능과 중복되는 내용이 없도록 추진 중인 공항개발사업 계획을 대체하여 「공항시설법」 제3조에 따라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6. 「공항시설법」제2조 제3호,「특별법」제2조 제1호
  1. 이, 상봉; 이, 정용 (2023년 3월 26일).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코리아문화스포츠저널》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년 9월 29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터널 및 교량 중, 통과에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유료 도로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